급격하게 올라버린 난방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을 위해 정부에서 난방비를 지역별로 긴급지원을 한다고 합니다. 현재는 취약계층에게 지원할 계획이며,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중산층까지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했기 때문에 서민 및 자영업자까지 확대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지원 내용이 다르니 각자 살고 있는 지역 정보에 대해 얻어가세요.
서울특별시
서울시는 346억원을 투입해 난방비를 지원합니다. 기초생활수급 가구당 10만원을 지급하며, 사회복지시설 약 900곳에 30만원 ~ 1,000만원을 지원합니다. 또 약 1,500개의 경로당에 11억원, 937개의 시립복지시설에 35억원을 지원합니다.
경기도
경기도는 예비비 및 재해구호기금인 200억원을 투입해 취약계층 약 44만개 시설 및 5,225곳에 지원을 하며, 기초생활수급 가구당 20만원을 지급하며, 경로당 및 한파시설에 40만원을 지원합니다.
인천광역시
인천시는 기초생활수급 가구당 10만원을 지급합니다.
대전광역시
대전시는 2월말까지 저소득 한부모 가정 4,627가구에 월동비로 22만원을 지급합니다.
기름보일러를 쓰는 한부모가정 또는 소년·소녀가정에는 가구당 31만원까지 경유값을 결제할 수 있는 카드를 지급할 계획입니다.
연탄을 사용하는 저소득층에는 가구당 31만원까지 연탄값을 결제할 수 있는 카드를 지급할 계획입니다.
장애인,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대상자 등 5만 8,196가구의 도시가구 요금도 가구당 평균 85,659원씩 경감할 계획입니다.
충청남도
충남은 재해구호기금 76억원을 이용해 경로당 및 마을회관 등 한파쉼터에 20만원씩 지급하며 6만 6천여 세대의 취약계층 가구당 10만원씩 지급합니다.
기존 경로당 난방비 및 취약계층 에너지바우처와는 별도니 참고해 주세요.
충청북도
충북은 사회복지 시설마다 월 30만원 ~ 100만원을 지급하는데, 운영비와 별개로 난방비를 지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강원도 동해시
차상위 대상자 450가구를 선정해 동절기(11월~2월)동안 가구당 매 월 10만원씩 지급할 계획입니다.
부산광역시
부산시는 재해구호기금으로 난방비를 지원하는데, 취약계층 6,700가구에게 10만원을 지급합니다.
지원 대상자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난방비 상승에 따른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분들입니다.
울산광역시
울산시는 사회복지시설 252개소의 시설 정원에 따라 30만원 ~ 100만원을 지원하며, 이 중 57개의 지역아동센터는 월 10만원씩 1년 동안 지원합니다.
경상북도
기초생활수급권자 10만 5천여 가구에게 가구당 10만원을 지급하고, 한파쉼터 5천개소는 쉼터당 80만원을 지원받습니다.
대구광역시
대구시는 에너지바우처 지원에서 제외된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당 10만원씩 지급하니다.
경상남도
기존에 난방비를 지원받던 1만 4천여 노인가장 세대는 6만원에서 10만원으로 인상된 지원금을 받으며, 한부모가정 등 7만여 가구는 에너지 바우처 5만원을 지원받습니다.
전라북도 & 전라남도
전라도는 저소득 노인과 한무모 가정에 각 20만원씩 지급합니다.
전라남도 신안군
독거노인 1,300여명에게 상품권 20만원을 지급하며, 해당 상품권을 이용해 가까운 주유소에서 난방용 기름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중 에너지 바우처 미지원 대상에게 10만 7천원을 지급합니다.
중산층까지 확대?
갑작스런 난방비 폭탄으로 인해 부담스러운건 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중산층도 마찬가지입니다. 그에 따라 윤석열 대통령은 서민 및 자영업자 등의 중산층까지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했습니다. 앞으로 난방비 지원금 대상자 확대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2월 국산차 할인 프로모션 총정리 (0) | 2023.02.04 |
---|---|
금리인하 요구권 활성화,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최신정리 (0) | 2023.02.01 |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장소 및 완전해제 시기 (0) | 2023.01.30 |
2023년 일자리 지원금 총정리 (0) | 2023.01.28 |
부모급여 지원대상, 지급시기, 지급금액,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