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이 알면 좋을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바로 '알뜰교통카드' 제도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2023년부터 혜택을 대폭 강화한다고 하는데 지원금액은 어떻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할 때, 그리고 버스나 지하철에서 내려서 목적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여기에 더해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한달에 1만원에서 최대 4만원 정도로 대중교통비를 30%에서 최대 50%까지 이용요금을 캐시백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길이가 길수록 더 많은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하루 최대 적용할 수 있는 거리는 최대 800m입니다. 이 거리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가 교통비의 20%를 마일리지로 지급하고 사용하는 카드이용 실적에 따라서 카드사의 추가로 10%를 지원해줍니다.
신청방법
검색창에 '알뜰교통카드' 라고 검색하시고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메인에 바로 카드신청 버튼이 있습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종류의 교통카드가 있으니 기존에 사용하시던 카드나 마음에 드시는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카드사끼리 경쟁을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혜택들도 잘 비교해 보시고 교통카드 목적이니 연회비가 없는 체크카드로 선택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적립 기준
1회 교통요금 지출액 |
2천원 미만 | 2천원 ~ 3천원 | 3천원 이상 | 비고 |
---|---|---|---|---|
일반(현행유지)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 최대 800m 기준 |
청년층(신설) | ~350원 | ~500원 | ~650원 | |
저소득층(신설) | ~500원 | ~700원 | ~900원 |
지급 조건
한달 단위로 지급되며 한달에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고 최대 44회까지 지급합니다. 1일 횟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하루에도 여러 번 적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확인되어야 하며 주소지가 정상인 경우, 알뜰교통카드 앱 가입 첫달은 대중교통 이용횟수는 무관합니다.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발령된 날에는 마일리지기 2배로 적립된다고 합니다.
이용가능 지역
초반에는 일부 대도시에서만 진행했지만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어서 2023년 부터는 아래 지역들이 해당됩니다.
수도권
서울 (전 지역) / 인천 (전 지역) / 경기 (전 지역)
충청권
대전 (전 지역) / 세종 (전 지역) / 충북 (청주, 옥천, 제천) / 충남 (전 지역)
전라권
광주 (전 지역) / 전북 (전주, 익산, 남원, 완주, 군산, 정읍) / 전남 (순천, 무안, 신안, 여수, 목포, 해남, 광양, 나주)
경상권
부산 (전 지역) / 대구 (전 지역) / 울산 (전 지역) / 경북 (포항, 영주, 경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 경남 (양산,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창원, 통영, 고성, 사천, 함안)
기타
강원 (춘천, 강릉, 원주) / 제주 (전지역)
이용방법
카드를 수령하셨다면 가장 먼저 알뜰교통카드 앱을 설치하시고 회원가입을 하면 됩니다. 회원가입시 발급받은 카드 정보 등을 입력하면 되는데요. 이 때 기초·차상위계층에 해당하신다면 미리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수급자 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를 발급 받아서 사진 찍으신 후 회원가입 진행 중에 '저소득층 증빙서류 등록하기' 버튼이 보이신다면 해당 버튼을 클릭하셔서 서류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회원가입이 완료되었다면 집에서 출발할 때 앱 메인화면에 '출발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하차해서 목적지에 도착하면 앱에서 '도착' 버튼을 클릭하면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여기서 깜빡하고 출발할 때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마일리지 적립이 안되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신다면 습관화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기 때문에 이 글을 작성하기 전에 신청했습니다. 저처럼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셔서 조금이라도 아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국민연금 개편, 수령나이 및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0) | 2023.01.02 |
---|---|
2023년 주휴수당 폐지 거론 (0) | 2022.12.30 |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2023년 기준 (0) | 2022.12.24 |
한국 나이 폐지 만 나이 계산방법 (0) | 2022.12.17 |
한겨울의 동행축제 윈윈터 페스티벌 (0) | 2022.12.16 |
댓글